top of page

군, 일 초계기 위협 비행 영상 오늘 공개한다

  • 작성자 사진: 성주환
    성주환
  • 2019년 1월 24일
  • 1분 분량

P-1 초계기. 일본 해상자위대

합동참모본부가 오늘(24일) 아침 더불어민주당을 찾아 일본 초계기 근접 비행 관련 비공개 보고를 했다. 주변국 대응 메뉴얼을 따라 함정 탑재 헬기 기동 등의 적극적 대응을 하겠다고 밝힌 것이다.


국방부는 일본 초계기의 위협 비행 영상을 오늘 공개할 방침이다. 일본측에서 위협비행을 한 적이 없다고 하자 증거를 내보일 셈이다. 대조영함은 어제 오후 일본 초계기의 근접 위협 비행 장면을 자외선감시 카메라와 캠코더로 촬영했고, 고도와 거리 등이 명시되는 레이더와 전자장비의 화면도 함께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일본의 초계기는 근접 비행을 제외하더라도 통상적으로 금지되는 3가지 위협적인 행태를 모두 보였다. 함선을 향해 돌진해 오는 비행, 함선 측면을 지나치는 공격모의 비행, 뱃머리를 가로지르는 비행이다. 우리 군은 경고통신을 하고 무려 20차례에 걸쳐 무전을 했지만 일본 초계기는 아무런 응답 없이 함정 주변을 맴돌았다.


해준 작전사령부가 한일 직통망을 통해 강력히 항의를 했으나 일본 측은 식별가능한 우군국 항공기에 대해 자위권 조치를 한다는 것은 무적절하다며 철회를 요망한다 대답했다. 그에 우리 해군은 상호 식별이 가능한 상황에서 근접 비행을 한 것은 함정 안전에 위협을 느낄 수 있는 비행이라며 의도가 무엇인지 확실히 밝히라고 요구했다.


특히 어제 있었던 근접 비행의 구역은 한중일 3국의 방공식별구역이 겹치는 해상에서 이루어졌다. 유사시 우리 공군이 작전을 펼치기가 까다로운 공역이다. 그만큼 치밀한 기획적 도발로 의심된다.


군관계자는 일본측은 우리 함선이 추격 레이더를 쏘도록 유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이와 같은 도발은 자위대를 전쟁이 가능한 정식 군대로 바꾸려는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는 분석이다.


한편 일본의 아베 총리가 여론을 결집하고 추락하는 지지율을 만회하려는 정치적인 의도가 밑바탕에 깔려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Commentaire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