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카풀, '택시중심'의 공유경제 모델로 해결하겠다.
- 성주환
- 2018년 12월 19일
- 1분 분량

카카오 카풀 서비스와 소식과 동시에 갈등을 빚고 있는 택시업계가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
오늘(19일)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가 제시한 '4차 산업혁명 시대 제도권 자가용 '택시' 중심 공유경제 추진 방안'에 또다른 택시단체들 또한 힘을 모으기로 했다.
택시업계는 손님들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에와 심야에 택시카풀 제도를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카카오 카풀 서비스를 일반 택시에서 구현하겠다는 것이다. 추가로 차고지 현행되고 있는 차고지 입출고 의무제를 폐지하고 3교대로 운행중인 개인택시를 탄력적으로 운행하길 요구했다. 공급 차량을 확대를 추구한다는 이유에서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택시업계와 카카오 모빌리티의 '협업'가능성도 시사했다.
택시업계 관계자는 "카카오의 우수한 기술과 택시가 접목된다면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다"라며 "다만 일반차량이 아닌 택시 중심의 공유경제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아직 제출받은 자구책은 없으며 택시업계가 집회를 중단하겠다는 등의 제안과 함께 나선다면 검토하겠다"라고 말했다.
이에 네티즌들의 반응은 달갑지 않다. 일반적으로 부르는 합승의 합법화를 노리는 것이 아니냐, 카풀의 의미를 해치고 있다, 해외에서는 잘 운행하고 있는 우버서비스와 카풀을 왜 우리나라만 이러느냐 등의 의견이 이어지고 있다.
Commentaires